강신주의 ‘상처받지 않을 권리’라는 책을 읽고 있다. 이 책에서 돈은 ‘무한한 교환가치’로 설명되고, 이와 동시에 겉으로 드러나 보이는 ‘권능’으로 묘사된다. 좋은 단어다. ‘권능’이라니.
광야에서 금송아지, 즉 맘몬을 숭배한 이스라엘 민족들이 나는 바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들은 정말로 본인들 앞에서 권능을 보여주는 것이 무엇인지 제대로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스라엘의 하나님은 변덕쟁이였고, 그들이 원하는 때에 권능을 보여주지 않았다. 이스라엘인들은 400년을 기다렸다. 오늘날 정치인들처럼, 여호와께서는 우리에게 공약을 주셨지만, 언제 그 공약이 실현될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주지 않으셨기에 이스라엘 민족의 고통과 신음은 갈수록 쌓아져만 갔다. 오랜 노예 생활에 익숙해진 이스라엘 민족은 이집트에서 나가고 싶은 마음도 의지도 그다지 남아 있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집트 민족의 장자들을 말살하는 권능은 이스라엘 민족에게는 뜬금없는 것이었고, 너무나 잔인한 것은 아니었을까. 이집트 민족의 모든 장자들이 악한 주인은 아니었을 것이다. 그러한 권능을 행하고도, 힘있는 신을 섬기는 이스라엘 민족은 이집트 땅에서 나가야만 했다. 즉 객이 되어야 했다는 뜻이다. 이집트 땅의 주인은 이집트인들이였고, 그곳의 토착 우상들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돈’은 원하는 때에 힘을 발휘하게 해주는 권능 그 자체였다. 물론 쓸 수록 권능이 사라져 없어진다는 한계는 있었지만. 이스라엘 민족들도 돈의 힘은 알았을 것이다. 돈이 있으면 군대를 조직할 수 있고, 식량을 살 수도 있다. 위력 행사를 하지 않고도 가나안 땅을 통과할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 고대민족인 이스라엘 민족이 보기에, ‘돈’은 정말로 신비로운 존재였을 것이다. 별 가치 없어 보이고, 스스로 움직이지도 말하지도 못하는 이 녀석은 자연법칙 내에서 수많은 사람들을 움직이게 하는 힘이 있었다. 이 땅 위에 구현된 하나님의 권능이라고 보기에 무리가 없었다. 그래서 모세가 시내산으로 올라가 생사가 불분명해지자 그들은 돈에 의지했던 것이다. 그리고 돈 이상의 권능을 가지신 여호와께서는 분노로 그들을 치신다.
하지만 거룩하신 여호와께서는 직접 그들을 치시지도 않으셨다. 거룩한 분께서는 거룩한 손인 레위인들을 쓰셔서 3000명을 도륙하셨다. 공지영 작가가 인생에서 가장 어두웠던 순간 중에 하나로 학창시절에 있었던 ‘상호체벌’ 사건을 들었었다. 즉 학생들끼리 서로 때리게 하는 것이다. 물론 학생들끼리는 쭈뼛쭈뼛할 수밖에 없다. 그 때 선생이 개입해서 한명의 턱을 돌려 놓으면, 나머지 학생들도 그 공포에 질려서 상대의 뺨이 빨개질 때까지 서로를 때리게 된다. 체벌이 끝나고 남게 되는 것은, 선생에 대한 공포나, 앞으로 잘해야지하는 새로운 다짐이 아니라, 친구를 향한 묘한 감정들 뿐이다. 그리고 하나님은 그 체벌 방식을 선진적으로 그 때에 도입하셨다. 즉 동족이 동족을 죽이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그 때 부서진 돌판의 여섯번째 줄에는 무의미하게 ‘살인하지 말지니라’라는 말이 적혀 있었다.